맨위로가기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는 1440년 헝가리에서 태어난 인물로, 독일, 헝가리, 보헤미아의 국왕 알브레히트 2세의 아들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의 외손자이다. 그는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유복자왕"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1440년 헝가리 왕으로 즉위했으나 헝가리 의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브와디스와프 3세가 사망한 후 헝가리 왕으로 재선출되었고, 후녀디 야노시의 섭정을 거쳐 1453년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했다. 이후 울리크 2세의 영향력 아래 통치하다가, 1457년 프라하에서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알브레히트 계열 혈통은 단절되었으며, 오스트리아, 헝가리, 보헤미아의 왕위는 각각 다른 인물에게 승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오스트리아 공작 - 마차시 1세
    마차시 1세는 1458년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진흥하고 강력한 중앙 집권 정책과 군사 개혁을 통해 헝가리를 강대국으로 성장시켰으며, 오스만 제국에 맞서 헝가리의 독립을 지키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후사를 남기지 못했다.
  • 15세기 오스트리아 공작 - 빌헬름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
    빌헬름 폰 외스터라이히 공작은 레오폴트 3세의 아들이자 1386년부터 1406년까지 내오스트리아 공국을 다스린 합스부르크 가문의 인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실패 후 나폴리 왕국의 조반나 2세와 결혼했으나 후계 없이 사망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가 다시 분할되었다.
  • 1457년 사망 - 로렌초 발라
    로렌초 발라는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고전 문헌 연구를 통해 중세 시대의 권위에 도전하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의 위조 사실을 밝혀내고, 스콜라 철학을 비판하는 등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 1457년 사망 - 덕종 (조선)
    조선 덕종은 세조의 장남이자 성종의 아버지로,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였으며, 그의 죽음은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여러 논란을 낳았고, 후에 아들 성종의 즉위로 추존되었다.
  • 1440년 출생 - 히노 도미코
    히노 도미코는 무로마치 시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정실로, 막부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오닌의 난 권력 다툼 개입, 쇼군 후계자 옹립 역할 수행, 막부 좌지우지, 민중 반발 야기 등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며, 후지와라 도미코로 불렸다는 주장도 있고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1440년 출생 - 카비르
    카비르는 15세기경 인도에서 활동한 시인이자 성자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위선을 비판하며 내면의 성찰을 강조했고, 그의 사상은 카비르 판트 종교 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457년의 익명 그림
1457년의 익명 그림
이름라디슬라우스 5세
다른 이름(후손 라슬로)
(사후의 라디슬라브)
(유복자 라디슬라프)
(사후의 라디슬라우스)
출생일1440년 2월 22일
출생지코마롬, 헝가리 왕국
사망일1457년 11월 23일
사망지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매장지성 비투스 대성당
왕가합스부르크 가문
아버지알브레히트 2세
어머니엘리자베트 폰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 공작
즉위1440년 2월 22일
퇴위1457년 11월 23일
이전알브레히트 5세
이후프리드리히 5세
섭정프리드리히 5세 (1440년~1452년)
헝가리/크로아티아 국왕
즉위1440년 5월 15일
퇴위1457년 11월 23일
이전알브레히트
이후마차시 1세
경쟁자브와디스와프 1세(1440년~1444년)
섭정엘리자베트 폰 룩셈부르크 (1440년~1442년)
후녀디 야노시 (1446년~1453년)
섭정 유형섭정
보헤미아 국왕
즉위1453년 10월 28일
퇴위1457년 11월 23일
이전알브레히트
이후이르지
섭정이르지 스 포데브라트 (1453년~1457년)

2. 생애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는 1440년 2월 21일 헝가리 코마롬(현재의 슬로바키아 코마르노)에서 독일의 국왕이자 헝가리의 국왕, 보헤미아의 국왕인 알브레히트 2세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지기스문트의 딸인 엘리자베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약 4개월 만에 아버지인 알브레히트 2세가 사망했기 때문에 "유복자왕"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1440년 5월 15일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왕관을 받으면서 헝가리의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헝가리 의회는 자신들의 동의 없이 대관식이 치러졌다며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대신 헝가리 의회는 폴란드의 국왕이었던 브와디스와프 3세(울라슬로 1세)를 헝가리의 국왕으로 선출했다.

1444년 11월 브와디스와프 3세가 오스만 제국과의 바르나 전투에서 전사하면서 헝가리 의회는 라디슬라우스를 헝가리의 국왕으로 선출했다. 1446년부터 1453년까지는 후녀디 야노시가 헝가리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 1453년에는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즉위했고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가 보헤미아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

1453년 후녀디 야노시가 섭정 역할을 포기한 뒤부터 라디슬라우스는 자신의 외사촌이었던 슬로베니아 출신의 첼레 백작인 울리크 2세에 의지했다. 울리크 2세는 오스트리아의 남작인 울리히 아이칭거와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면서 라디슬라우스의 새로운 후견인 역할을 수행했다.

1456년 7월 4일부터 7월 22일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던 메흐메트 2세의 명령을 받은 오스만 제국 군대가 난도르페헤르바르(Nándorfehérvár, 현재의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포위하면서 라디슬라우스는 헝가리 왕국을 떠나 으로 피신했다. 베오그라드 포위전에서 후녀디 야노시가 이끄는 헝가리 군대는 오스만 제국 군대를 물리쳤지만 후녀디 야노시는 2주일 만에 사망하고 만다.

헝가리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울리크 2세는 라디슬라우스와 함께 헝가리로 귀환했지만 1456년 11월 9일 후녀디 야노시의 아들인 후녀디 라슬로에게 암살당하고 만다. 라디슬라우스는 후녀디 라슬로를 사면시켰지만 1457년 3월에 후녀디 라슬로를 처형했다. 이에 후녀디 가문과 후녀디 라슬로를 지지하던 세력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라디슬라우스는 빈으로 피신하게 된다.

1457년 11월 23일 보헤미아 프라하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한때는 라디슬라우스가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에 의해 독살당했다는 소문도 있었지만 1985년에 있었던 시신 부검에서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의 사망으로 인해 합스부르크 가에 남아 있던 알브레히트 계열의 혈통은 완전히 단절되고 만다. 오스트리아의 공작위는 프리드리히 5세(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3세), 헝가리의 왕위는 마차시 1세(후녀디 마차시), 보헤미아의 왕위는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가 각각 승계받았다.

2. 1. 출생과 즉위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는 1440년 2월 21일 헝가리 코마롬(현재 슬로바키아 코마르노)에서 알브레히트 2세와 엘리자베트 폰 룩셈부르크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알브레히트 2세는 독일 왕, 헝가리 왕, 보헤미아 왕이었으며, 어머니 엘리자베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의 외동딸이었다. 라디슬라우스는 아버지가 사망한 지 4개월 만에 태어났기 때문에 '유복자'라는 뜻의 '포스투무스'라는 별칭을 얻었다.

헝가리 귀족들은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폴란드 왕 브와디스와프 3세(울라슬로 1세)를 헝가리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 그러나 라디슬라우스의 어머니 엘리자베트는 헝가리 성왕관을 훔쳐 아들을 왕으로 즉위시키려 했다. 1440년 5월 15일, 라디슬라우스는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헝가리 왕으로 즉위했다. 헝가리 의회는 라디슬라우스의 즉위를 인정하지 않고, 브와디스와프 3세를 헝가리 왕으로 선출했다.

2. 2. 내전과 섭정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는 독일의 국왕이자 헝가리의 국왕, 보헤미아의 국왕인 알브레히트 2세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지기스문트의 딸인 엘리자베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약 4개월 만에 아버지 알브레히트 2세가 사망했기 때문에 "유복자왕"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1444년 11월 브와디스와프 3세오스만 제국과의 바르나 전투에서 전사하면서 헝가리 의회는 라디슬라우스를 헝가리의 국왕으로 선출했다. 1446년부터 1453년까지는 후녀디 야노시가 헝가리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 1453년에는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즉위했고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가 보헤미아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

1453년 후녀디 야노시가 섭정 역할을 포기한 뒤부터 라디슬라우스는 자신의 외사촌이었던 슬로베니아 출신의 첼레 백작인 울리크 2세에 의지했다. 울리크 2세는 오스트리아의 남작인 울리히 아이칭거와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면서 라디슬라우스의 새로운 후견인 역할을 수행했다.

2. 3. 통치 기간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는 1440년 헝가리 코마롬(Komárom, 현재의 슬로바키아 코마르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알브레히트 2세가 사망한 지 4개월 만에 태어났기 때문에 "유복자왕"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브와디스와프 3세(울라슬로 1세)가 전사하면서 헝가리 의회는 라디슬라우스를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했다. 1446년부터 1453년까지는 후녀디 야노시가 헝가리의 섭정 역할을 수행했다.

1453년, 라디슬라우스는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했다. 후녀디 야노시가 섭정직에서 물러난 후, 라디슬라우스는 첼레 백작 울리히 2세에게 의존하여 통치했다. 1456년 7월 4일부터 7월 22일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가 난도르페헤르바르(Nándorfehérvár, 현재의 세르비아 베오그라드)를 포위하자, 라디슬라우스는 으로 피신했다. 베오그라드 포위전에서 후녀디 야노시가 이끄는 헝가리 군대는 오스만 제국 군대를 물리쳤지만, 후녀디 야노시는 2주일 만에 전염병으로 사망하고 만다.

헝가리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울리크 2세는 라디슬라우스와 함께 헝가리로 귀환했지만, 1456년 11월 9일 후녀디 야노시의 아들인 후녀디 라슬로에게 암살당하고 만다. 라디슬라우스는 후녀디 라슬로를 사면했지만, 1457년 3월에 그를 처형했다. 이에 후녀디 가문과 후녀디 라슬로를 지지하던 세력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라디슬라우스는 다시 빈으로 피신하게 된다.

1457년 11월 23일 보헤미아 프라하에서 라디슬라우스는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라디슬라우스가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에 의해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1985년 시신 부검에서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의 사망으로 합스부르크 가에 남아 있던 알브레히트 계열의 혈통은 완전히 단절되었다. 오스트리아 공작위는 프리드리히 5세(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3세), 헝가리의 왕위는 마차시 1세(후녀디 마차시), 보헤미아의 왕위는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가 각각 승계받았다.

2. 4. 죽음

1457년 11월 23일, 라디슬라우스는 보헤미아 프라하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당시 사람들은 젊은 왕이 독살당했다고 의심했지만, 1985년에 있었던 시신 부검에서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의 시신은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라디슬라우스의 죽음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에 남아 있던 알브레히트 계열의 혈통은 완전히 단절되었다. 오스트리아 공작위는 프리드리히 5세(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3세)가, 헝가리의 왕위는 후녀디 야노시의 아들 마차시 1세가, 보헤미아의 왕위는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가 각각 승계받았다.

3. 유산

라디슬라우스는 결혼하지 않았다. 1457년 가을 프라하에 도착한 후 그는 프랑스샤를 7세의 딸인 마들렌에게 청혼을 요청했다. 샤를 7세는 그 제안을 수락했지만, 라디슬라우스의 사절들이 파리에서 혼인 계약에 서명했을 무렵에는 이미 라디슬라우스가 사망했다. 라디슬라우스의 죽음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알베르트 계열"은 단절되었다. 프리드리히 3세 황제와 그의 동생인 알브레히트 6세가 오스트리아의 공동 후계자가 되었다. 헝가리에서는 마티아스 코르비누스가 라디슬라우스 사후 두 달 만에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게오르게 포제브라디는 1458년 3월 3일 보헤미아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라디슬라우스와 마들렌의 약혼 초상화, 1457년경

참조

[1] 서적 Vittorino da Feltre and Other Humanist Educators https://history.han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1-23
[2] NDB Albrecht II.
[3] ADB Elisabeth (deutsche Königin)
[4] ADB Albrecht IV. (Herzog von Österreich)
[5] 서적 Historia genealogica da casa real portugueza https://archive.org/[...] Lisboa Occidental
[6] ADB Sigmund (Kaiser)
[7] NDB Barbara von Cilly
[8] 웹사이트 Ladislas V king of Hungary and Bohemia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